근래 사내 프로젝트로 AWS Lambda 를 활용하여 on-the-fly 방식으로 동적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겪었던 이슈와 과정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보려 합니다. 배경저희 회사는 이커머스 업계 특성상 굉장히 많은 상품 이미지를 AWS S3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시 이미 동적 이미지 프로세싱 및 캐싱 기능의 역할을 하는 외부 솔루션을 도입하여 Image 서버가 구축되어 있었고 월마다 고정 비용이 나가고 있었는데요. 클라이언트에서 이미지 요청의 경우 flow 를 자세히 보니 조금 의아한 부분이 있었습니다.기존 이미지 요청 flow 를 간략하게 도식화한 이미지입니다. 이미 AWS CloudFront가 제일 앞 단에서 url 을 key 값으로 캐싱을 잘해주고 있었고..
React 프로젝트를 Github Action을 이용하여 AWS S3로 자동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는 글이다. 우선적으로 배포할 프로젝트의 Github Repository(원격저장소)가 생성이 되어있고 AWS 계정이 있다는 전제하에 진행을 한다. 1. Workflow 생성 Github Action을 이용하여 자동 배포를 위한 workflow를 생성하기 위해 해당 repository 상단 탭에 Action 탭을 클릭하여 workflow를 생성하는 화면으로 들어온다. 현재 배포하려는 React 프로젝트는 npm 으로 build하기 때문에 Node.js 에서 Configure 를 클릭한다. Configure에서 workflow를 작성하면 되는데 기본적인 workflow가 작성이 되어있다. 위 wo..